내 종합소득세를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은?

소득세
조회수 0업데이트:
종합소득세
소득세
세금
공제
세율

한눈에 보는 요약

  • 소득별로 분류하여 합산
  •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적용
  • 세율 적용 및 세금 계산

소득별 분류 및 합산

종합소득세 계산의 첫 단계는 소득을 종류별로 나누어 합산하는 것입니다. 대한민국 세법에서는 총 11가지의 종합소득이 있습니다:

  • 근로소득
  • 사업소득
  • 부동산소득
  • 임대소득
  • 기타소득
  • 이자소득
  • 배당소득
  • 연금소득
  • 퇴직소득
  • 양도소득
  • 사외이사 보수소득

각 소득에 대한 세금 계산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:

  • 근로소득: 연봉에서 각종 공제를 제외한 금액
  • 사업소득: 사업 소득금액에서 필요경비를 차감한 금액
  • 부동산소득: 부동산 매매로 인한 소득

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적용

소득 합산 후, 다음 단계는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적용하는 것입니다. 공제는 납세자가 납부해야 할 세액을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:

  • 소득공제: 연금보험료, 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 등
  • 세액공제: 자녀세액공제, 근로소득세액공제 등

예를 들어, 연금보험료는 최대 40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. 또한, 자녀 세액공제는 자녀 1인당 15만원의 공제가 적용됩니다.

세율 적용 및 세금 계산

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적용한 후, 남은 소득에 대해 세율을 적용합니다. 대한민국 종합소득세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1,200만원 이하: 6%
  • 1,200만원 초과 ~ 4,600만원 이하: 15% - 108만원
  • 4,600만원 초과 ~ 8,800만원 이하: 24% - 522만원
  • 8,800만원 초과 ~ 1억 5천만원 이하: 35% - 1,642만원
  • 1억 5천만원 초과 ~ 3억원 이하: 38% - 1,992만원
  • 3억원 초과: 40% - 2,592만원

세율을 적용한 후, 최종적으로 종합소득세를 계산합니다. 예를 들어, 총소득이 5천만원인 경우, 1,200만원 이하 구간에 대해 6%, 초과분에 대해 15%의 세율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
세금 = 1,200만원 * 6% + (5천만원 - 1,200만원) * 15% - 108만원 = 120만원 + 5,700만원 * 15% - 108만원 = 120만원 + 855만원 - 108만원 = 867만원

🔎 추가로 많이 묻는 질문 (FAQ)

📌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은 언제인가요?

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은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입니다.

📌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?

신고를 하지 않거나 잘못 신고할 경우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가산세는 납부하지 않은 세액의 10%가 부과되며, 신고 기한이 지난 후 3개월 경과 시 추가로 20%가 부과됩니다.

📌 더 많은 절세 정보를 원하신다면 위 관련 Q&A도 함께 확인해보세요. 😃

함께 보면 좋은 질문